대한민국 대표 접착코팅 기업
아리랑케미칼은 성실히 답변과 솔루션을 제공
하겠습니다.


산업 전기 전자등에 사용되는 접착 자료의 모든것
조회 수 65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한국이나 일본 섬유산업의 용도별 섬유소비량으로 본 구조적 변화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전체 섬유소비량에 대한 산업자재용 섬유의 비율이 커진다는 점이다. 특히 일본에서의 산업자재용 섬유의 신장은 현저하다. 이에 수반하여 주로 산업 용도에서 시용되고 기능성이 중요시되고 있는 부직포의 소비량도 증가되고 있다.

○ 최근의 동향을 보면 용도별로는 의료용의 감소가 지속되었고 최성수기의 약 반 이하까지 생산량이 떨어졌다. 이것은 봉제가 아시아 지역 현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생산량이 증가된 용도는 자동차용, 그 밖의 산업용, 생활 관련, 의료 위생용으로 일본과 한국의 다른 산업분야와 연동되고 있다.

○ 선진국에서는 섬유산업에 있어서의 산업용 섬유자재(technical textiles)의 중요성이 최근 특히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technical textiles의 정의는 재료학으로 「철, 목재, 시멘트, 돌, 직물 등의 전통적 재료와 함께 하이테크 기능재료 분야에서 섬유의 형태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신소재적인 재료」로 불린다.

○ 기능성 섬유로서는 혼합방사 섬유, 복합 섬유, 탄성 섬유, 이형단면 섬유, 극세 섬유, 고강도?고탄성률 섬유, 전도성 섬유, 고흡수성 섬유, 대전방지 섬유, 일렉트렉트 섬유, 자성 섬유, 전기절연성 섬유, 산소이온 전도 섬유, 내열 섬유, 난연 섬유, 축열?발열 섬유, 광전도 섬유, 적외선?자외선 차단 섬유, 흡착?분리 섬유, 수용성 섬유, 항균?방취 섬유, 생분해성 섬유 등 아주 많은 섬유가 개발되고 있다.

○ 한국의 섬유산업이 과거의 산업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새로운 소재 산업으로 변신해 가고 있다. 그 근간에는 섬유 자체로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산업 분야에 필요한 필수 소재를 개발해 나아가고 있는 점이 중심이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개발, 상품화 등의 단계에서 산업분야 간, 학술 분야 간의 융합 및 복합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출처:Reseat


산업용 섬유자재로서의 부직포.pdf


자료

접착, 관련 자료

  1. 고분자분리막의 실리콘에 의한 산소투과향상에 관한 연구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7182
    Read More
  2.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탄소 복합체 Bipolar Plates의 기체 투과 특성 연구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779
    Read More
  3. 계면중합에 의한 역삼투용 복합막 제조에 관한 연구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830
    Read More
  4. 태양광 발전이란?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833
    Read More
  5. DME의 응용 촉매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324
    Read More
  6. 산 염기 복합촉매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762
    Read More
  7. FRP 교량의 현황 및 전망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821
    Read More
  8. 유기라디칼 EL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829
    Read More
  9.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비할로겐 난연가공제 개발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749
    Read More
  10. 작은 분자의 황산화 반응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938
    Read More
  11. LED의 생체의학의 응용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575
    Read More
  12. 바이오나노섬유의 제조와 이용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599
    Read More
  13. 일본 나노섬유개발의 현황과 전망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349
    Read More
  14. 이온액체 물리흡착법에 의한 이산화탄소 분리회수기술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408
    Read More
  15. 이산화탄소와 수소 분리용 고분자막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528
    Read More
  16. 산업용 섬유자재로서의 부직포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517
    Read More
  17. 태양열을 이용하는 흡착방식 공기조화 시스템의 개발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7265
    Read More
  18. 유럽 나노섬유연구의 최신동향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223
    Read More
  19. 유리의 기포형성에 산화-환원성이 미치는 영향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6522
    Read More
  20. 이산화탄소 포집물질

    Date2010.09.29 By아리랑 Views751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 k2s0o1d6e0s8i2g7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