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연저항(Insulation Resistance)

by 아리랑 posted Apr 25,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절연저항(Insulation Resistance)

전기 회로나 장비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아야 할 절연체(절연 재료) 사이에 측정되는 저항값을 의미합니다.
절연체의 전기적 절연 성능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쉽게 말해, 전기가 통하지 않아야 하는 부분(절연체)이 얼마나 전기를 잘 막아주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전류가 누설되지 않고 제대로 절연이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예요.


2. 정의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도체 사이에 존재하는 절연 물질이 전류의 흐름을 얼마나 방해하는지를 나타내는 저항값입니다.

이상적인 절연체는 저항값이 무한대에 가까워 전류가 전혀 흐르지 않아야 하지만, 실제로는 아주 미세한 누설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3. 중요성

절연 저항이 낮아지면 누전의 위험이 커지고, 이는 감전 사고나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 설비나 기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절연 저항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위: 절연 저항의 단위는 "옴(Ω)"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저항값을 가지므로 "메가옴(MΩ)"이나 "기가옴(GΩ)" 단위로 표시합니다.

 

4. 주요 특징
- 높을수록 좋습니다: 
- 절연저항 값이 높다는 것은 누설 전류가 적고 절연 상태가 양호하다는 의미입니다.
- 단위: 일반적으로 메가옴(MΩ) 단위로 표시됩니다.
- 측정 장비: 메거(megger) 또는 절연저항계라는 특수 장비로 측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