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정접(Dissipation Factor, DF)란?

by 아리랑 posted Feb 02,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유전정접(Dissipation Factor)

 

유전정접(Dissipation Factor, DF, tan δ)란?
유전정접(Dissipation Factor, DF 또는 tan δ)은 유전체(절연체)에서 전기에너지가 열로 손실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교류 전압이 가해질 때 유전체에 저장되는 에너지에 대한 손실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얼마나 많은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유전정접의 정의
유전정접(DF)은 **유전 손실각(tan δ, loss tangent)**이라고도 하며, 다음 공식으로 정의됩니다.

유전정접.jpeg

 (유전율, Permittivity): 전기장을 저장하는 능력 (실수 성분)
ε'' (유전 손실율, Dielectric Loss): 전기에너지를 열로 변환하는 비율 (허수 성분)
δ (손실각, Loss Angle): 유전물질에서 저장된 에너지와 손실된 에너지 사이의 위상각

DF 값이 작을수록 에너지 손실이 적고, 절연 성능이 우수함.

 

주요 소재 유전정접

주요 소재의 유전정접

소재

유전정접 (tan δ, DF)

특징 및 용도

공기(Air)

0

거의 완벽한 절연체

폴리프로필렌(PP)

0.0003 ~ 0.0005

커패시터 절연체, 저손실 특성

테프론(PTFE, Teflon)

0.0002 ~ 0.0005

RF 회로, 고주파 절연체

폴리에틸렌(PE)

0.0004 ~ 0.0005

전선 절연체

폴리스티렌(PS)

0.0001 ~ 0.0003

고주파 응용 가능

폴리염화비닐(PVC)

0.01 ~ 0.05

전선 피복, 중간 정도 손실

실리콘(Silicone)

0.001 ~ 0.02

절연체 및 충격 흡수재

에폭시 수지(Epoxy Resin)

0.02 ~ 0.05

PCB 기판, 반도체 패키징

유리(Glass)

0.003 ~ 0.01

전자파 투과율 우수

세라믹(Ceramic)

0.001 ~ 0.02

고전압 절연체, 커패시터

고무(Rubber)

0.01 ~ 0.1

전기 절연 및 진동 흡수

콘크리트(Concrete)

0.01 ~ 0.05

전파 차폐 성질 있음

 

 

유전정접(DF)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주파수(Frequency)

고주파(수 MHz~GHz)에서는 유전 손실이 증가할 수 있음.
저주파(수 Hz~kHz)에서는 대부분 낮은 값 유지.
- 온도(Temperature)

대부분의 유전체는 온도가 증가하면 DF도 증가하여 전력 손실이 커짐.
예외적으로 PTFE(테플론)는 온도 변화에도 매우 안정적.
- 습도(Humidity)

수분이 많아질수록 DF 증가(전기 전도성이 커지기 때문).
나일론(Nylon)과 같은 흡습성 소재는 습도에 따라 DF가 급격히 증가.
- 재료의 밀도 및 구조

밀도가 높은 소재는 유전특성이 안정적인 경우가 많음.
다공성(구멍이 많은) 소재는 수분 흡수를 쉽게 하여 DF가 커질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