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εr)

by 아리랑 posted Feb 02,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εr)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εr) 설명

절연체(유전체)가 전기장을 얼마나 잘 저장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을 말합니다. 
이는 절연체가 진공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전기장을 얼마나 강하게 유지하는지를 측정하는 
상대 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과 동일한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전 상수는 εr로 표시하며, 무차원 값입니다. 
진공의 유전 상수는 1이며, 다른 물질의 유전 상수는 1보다 큰 값을 가집니다. 
유전 상수가 클수록 해당 물질은 전기장을 더 잘 저장합니다.


유전상수의 특징
정의
유전상수(εr)는 물질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값, 

웹 캡처_2-2-2025_131638_chatgpt.com.jpeg

유전상수.jpg


유전상수의 값의 예

주요 물질의 유전상수

공기(Air)

1.0006

(Water)

80

소나무 (Pine)

2.5 ~ 3.5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

7 ~ 12

폴리프로필렌(PP)

2.1 ~ 2.3

유리(Glass)

4~7

실리콘(Silicon)

11.7

에폭시수지(Epoxy Resin)

3~5


온도와 주파수 영향

유전상수는 온도나 전기장의 주파수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주파(마이크로파 등)에서는 물질에 따라 유전상수가 감소될 수도 있습니다.

 

적용 분야
커패시터(콘덴서): 전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유전상수가 높은 물질을 사용하면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음.
RF 및 마이크로파 회로: 신호 전파를 조절하는데 영향을 줌.
절연체 설계: 고전압 전력 시스템, 전선 코팅 등에 사용됨.